언어
데이터가 없습니다
공고
알림 없음
단어 유형 선택
레벨 선택
人
사람; 몸; 인품; …인; 사람을 세는 말 ) : …인
と ひと ヒト じん にん たり り
사람; 인품; 나 ‘何’ ‘幾’ ‘若干’ 따위에 붙여서) 인; 사람; 사람; 인류; 인간; 개인; 또; 특별한 관계에 있는 사람; 보통 사람; 일반 세상 사람; 남; 타인; 어른; 성인; 적당한 사람; 훌륭한 사람; 인물; 필요한 일손; 인품; 성질; 사람 수를 나타내는 말; 사람의 수를 나타내는 말: 사람; 평점 등에서 3단계로 나눈 것 중 셋째
年
; 네 철이 일순하는 기간; 해; 시간의 단위; 한 해 동안; 연년; 매년; 해로 계산하는 길이; 시대 또는 기간; 경과하는 길이 또는 연대; 특히; 연령; 오곡이 익다; 결실하다; 결실
とし ねん とせ
; 년; 한 해; 1년; …년; 연수·연령을 나타내는 말
中
ちゅう チュン じゅう ぢゅう なか
대공 . 공중. 허공. 공간. 하늘; 욈. 암기. 〔동의어〕そら; 충; 충실; 충성; 주. 주석; 《속어》 「焼酎 」의 준말; 메뚜기. 〔동의어〕こはぜ; 『문어』 주벌 . 죄 있는 사람을 꾸짖다. 죄인을 죽임; 《속어》 《「という」의 변한말》 …라고 하는. 〔동의어〕つう; 중; 중앙. 중간. 한가운데. 〔동의어〕なか; 중간 정도. 〔동의어〕なかほど. 〔반의어〕 上·下·大·小; 치우치지 않음. 중용; 「中国」의 준말; 「中学校」의 준말; 「中堅手」의 준말; 《名詞에 붙어》 중; 그 범위 안에 있음; 지금 그 상태에 있음. 진행 중임; 어느 사물의 범주 안에 속함
なか
; 가운데; 중; 안; 속; 사이; 틈; 중간 ); 삼형제 중의 둘째; 중순 ); 東京의 吉原大阪의 新町에 있던 유곽을 가리킴; 관청에서 취재중임
ぢゅう
한가운데; 중앙; 사이; 틈; 중간쯤; 치우치지 않음; 중용 ; 평범함; 안쪽; 내; 전체; 맞다; 적중하다; 중독되다; ‘中国’의 준말; ‘中学校’의 준말; ‘中限’의 준말; 중편
ちゅう
중; ; 한가운데; 가운데; 사이; 중간; 중간 정도; 중간쯤의 크기; 치우치지 않음; 중용 ; 중도; ‘中学校 ’의 준말; ‘中国 ’의 준말; 가운데; 속; 안; 사이; 지금 그 상태에 있음; 도중; 과녁에 맞음
じゅう
동안; …중; …동안; …내내; 온…
何
なに
일정하지 않은 것을 가리키는 代名詞: 무엇; 이름을 알 수 없는 또는 무엇인지 알 수 없는 사물을 가리킴; 갑자기 이름을 댈 수 없거나 얼버무릴 필요가 있는 사물을 가리킴: 무엇인가 좀; 무엇 좀; 일례를 들고 그 밖의 것을 통틀어 가리킴: 무엇이고; 무엇 하나; 전혀; 조금도; 어떤; ; 반문할 때 쓰는 말: 뭐; 상대의 말을 부정하는 내용을 말할 때 씀: 아니
なん
‘なに’의 음편형; 몇…
でも
미숙. 덜 된. 엉터리. 〔참고〕 「あれでも…か 」; 또는 「…にでもなるか 」의 「でも」에서 나왔다고 함; ⇒ で ·も 【계 조사】. 〔참고〕 格助詞 「で」에 係助詞 「も」가 이어진 꼴; 《連語 「でも」가 변하여 하나로 된 말.체언 또는 체언에 준하는 말 및 格助詞에 붙음》; 극단적인 예를 들고 다른 것도 그렇다는 것을 유추시킴. …일지라도. …이라도; 「だけ」와 함께 써서 희망의 최소한을 나타냄. …이라도; 다른 적당한 것이 있으면 그것도 좋다는 뜻으로 씀. …이라도. …이나; 〈불특정물에 붙어〉 전면적인 긍정 또는 부정을 나타냄. …든지. …이라도; ⇒ ても . 〔참고〕 接続助詞 「ても」가 ガ·ナ·バ·マ行 五段動詞 뒤에 쓰인 꼴.<4> 【연어】『문어』 《否定의 接続助詞 「で」에 係助詞 「も」가 붙은 것. 현대 문장어에서는 「言わでものこと 」와 같은 관용적인 어법밖에 없음》 …하지 않아도 .<5> 【접속사】 《「それでも」의 준말》 그럴지라도. 그래도. 그러나. 하지만. 〔동의어〕けれども·だけど
; 엄격히 제한하지 않고 대체로 말할 때 쓰임: … 라도; 일부분을 들어서 다른 부분까지도 암시함: … 라도; 전면 긍정을 나타냄: … 라도; … 나; … 지; … 라도; … 지라도; 그럴지라도; 그렇더라도; 그래도
なに なん
이름·실체를 알 수 없는 사물을 가리킴. 무엇. 어떤 것. 무슨 일; 갑자기 이름을 댈 수 없는 사물이나 얼버무려 말할 필요가 있는 사물을 가리킴. 그것. 거시기; 한 예를 들어 그 밖의 것을 통틀어 가리킴. 무엇이고; 상대의 언동을 비난하는 뜻을 나타냄. 무엇. 뭐야. 〔참고〕 口語에서; 특히 助詞·助動詞와 복합될 때 1.~3.은 「何」이 되는 수가 많음; 《否定의 꼴이 딸리어》 무엇 하나. 조금도. 전혀. 아무런. 〔동의어〕少しも·全く·一切; 놀라거나 다짐하거나 반문할 때 하는 말. 뭐라고. 뭐야; 가볍게 부정하며 대수롭지 않다는 뜻을 나타냄. 아니야. 무얼
무엇; 어느 것
私
わちき
창녀 등의 자칭
し
사; 나; 개인; 개인의; 개인적인
나; 개인; 하는) 개인적인 것; 사적인 것; 공적으로 인정되지 않다; 비밀; 남몰래
わたし わたくし あっし わっち わっし わい わて わたい あたし あたくし あたい あて し
사; 사사로운 것. 사삿일. 〔반의어〕 公; 사리 . 사심. 사정; 불공평. 정실; 무슨 일을 숨어서 함. 은밀히 함; 《自称의 人代名詞. 남녀 다 같이 표준적인; 약간 격식차린 말》 나. 저
わたくし
저; 나; ; 사 ; 개인적인 것[사정]; 내밀; 비밀; 제멋대로임[함]; 사리
あたくし
나; 저 )
あっし
나; 저 들의 말씨))
あたい
나; 저
あて
わい
; 나; 너
わて
わたい
나
わたし
あたし