寄
◆ 귀.
◆ 신분·집안·가치 등이 높은.
◆ 경의(敬意)의 표시.
◆ 기.
◆ 기초. 근본.
◆ 『화학』 원자단(原子團). 〔동의어〕根.
◆ (설치해 놓은) 묘석(墓石)·장명등(長明燈)·기계 등을 세는 단위.
◆ 인간답지 않은 무서운 사람.
◆ 기.
◆ 기. 말 탄 사람의 수효.
◆ 『식물·식물학』 나무. 수목.
◆ 재목. 목재.
◆ 딱따기.
◆ 잡것이 섞이지 않음. 자연 그대로임. 순수함.
◆ ‘순수함’ ‘인공을 가하지 않음’ ‘오직 그대로임’의 뜻을 나타냄.
◆ 황. 노랑. 황색. 〔동의어〕きいろ.
◆ ‘황색’의 뜻을 나타냄.
◆ 기. 십간(十干)의 여섯째. 〔동의어〕つちのと.
◆ 기운. 정기. 생기. 분위기.
◆ (특유한) 맛. 향기.
◆ 숨. 호흡.
◆ 정신. 의식. 얼.
◆ 성미. 기질. 마음씨.
◆ 기. 기력.
◆ 생각. 의지.
◆ 마음. 기분.
◆ 흥미. 관심.
◆ 「希臘」의 준말.
◆ 『화학』 희. 묽은. 〔반의어〕 濃.
◆ 드묾. 〔참고〕 「希」는 「稀」의 대용자.
◆ 상을 입고 집에 들어박혀 행동을 삼가는 일. 또는 그 기간. ((보통 49일간)) 상(喪).
◆ 기. 기일(忌日). 회기(回忌).
◆ 『문어』 이상함. 야릇함. 진기함. {문어·ナリ 활용 }
◆ 기수. 홀수. 〔반의어〕 偶.
◆ 계절. 〔동의어〕シーズン.
◆ 連歌·俳句에서 구(句)에 삽입하는 계절의 경물(景物). 〔동의어〕季題·季語.
◆ 계. 천간(天干)의 열째. 〔동의어〕みずのと.
◆ 기. 기전체(紀傳體) 역사에서 제왕의 사적(事績)을 적은 글. 〔동의어〕本紀.
◆ 『문학』 〈「日本書紀」의 준말〉 일본서기.
◆ 기. 지질 시대 구분의 단위.
◆ 궤.
◆ 수레의 양 바퀴의 간격.
◆ 수레바퀴가 지나간 자국.
◆ 규칙.
◆ 기. 기록(문).
◆ 『문학』 「古事記」의 준말.
◆ 기.
◆ 기. 기구(起句).
◆ 『문어』 기.
◆ 시기. 기간. 기한.
◆ 좋은 기회. 시기.
◆ 기.
◆ 기간. 시기.
◆ [age]『지리·지학·지명』 지질 시대의 한 구분. 「世」의 아래.
◆ 계략. 모사(謀事). 방법.
◆ 《고어》 파. 〔동의어〕ねぎ.
◆ 『문어』 그릇. 〔동의어〕うつわ.
◆ 물건을 담는 용기.
◆ 기. 기량. 인물. 재능.
◆ 기.
寄宿
kishuku
しゃ
sha
기숙사
寄付
kifu
をきょうようする
wokyouyousuru
기부를 강요하다.
寄付者
kifusha
の
no
名
na
をかきつらねる
wokakitsuraneru
기부한 사람의 이름을 열기하다.
寄宿
kishuku
しゃ
sha
기숙사
寄付
kifu
をきょうようする
wokyouyousuru
기부를 강요하다.
寄付者
kifusha
の
no
名
na
をかきつらねる
wokakitsuraneru
기부한 사람의 이름을 열기하다.
寄宿
kishuku
しゃ
sha
기숙사
寄付
kifu
をきょうようする
wokyouyousuru
기부를 강요하다.
寄付者
kifusha
の
no
名
na
をかきつらねる
wokakitsuraneru
기부한 사람의 이름을 열기하다.
寄宿
kishuku
しゃ
sha
기숙사
寄付
kifu
をきょうようする
wokyouyousuru
기부를 강요하다.
寄付者
kifusha
の
no
名
na
をかきつらねる
wokakitsuraneru
기부한 사람의 이름을 열기하다.
寄宿
kishuku
しゃ
sha
기숙사
寄付
kifu
をきょうようする
wokyouyousuru
기부를 강요하다.
寄付者
kifusha
の
no
名
na
をかきつらねる
wokakitsuraneru
기부한 사람의 이름을 열기하다.
◆ 기관(器官).
◆ 기구. 도구.
◆ 계기.
◆ 시기. 기회.
◆ 〈「飛行機」의 준말〉 비행기.
◆ (불교에서) 기. 기근(機根). 〔동의어〕気根.
◆ 기계.
◆ 비행기.
◆ 비행기를 세는 말. 대.
◆ 『문어』 《用言·助動詞의 連用形에 붙음》
◆ 과거에 직접 체험한 일을 회상하는 말. …었다. …였다. …고 있었다.
◆ (경험과 관계없이 널리) 과거의 사실을 나타냄. …었다. …였다.
◆ 현재 또는 완료의 뜻을 나타냄. …하고 있다. 〔참고〕 終止形 「き」는 カ変動詞에 붙지 않음. カ変을 받는 경우는 「きし」 「きしか」와 「こし」 「こしか」의 두 꼴이 있음. 고대에는 未然形 「せ」가 있었다고 생각되는데, 助詞 「ば」가 붙어 가정의 뜻을 나타냄.
설명을 보려면 로그인하세요.